온 가족이 함께 만든 '아버지의 역사'
칠성소식

온 가족이 함께 만든 '아버지의 역사'

80대 한인 변덕인씨 회고록 '소년 병사' 출간
부인·3자녀 가족들이 힘 모아 8년만에 빛 봐

소년 병사 변덕인(앞줄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씨와 부인 박화용씨, 장남 변영수씨가 함께 자리했다. 둘째 변영철, 딸 변혜현씨는 라스베이거스에 거주하고 있어 통화로 인터뷰를 대신했다. 책 표지 사진은 한국전쟁 2개월 전인 1950년 4월에 촬영한 당시 중학교 2학년 15세 변덕인씨의 모습이다.

소년 병사 변덕인(앞줄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씨와 부인 박화용씨, 장남 변영수씨가 함께 자리했다. 둘째 변영철, 딸 변혜현씨는 라스베이거스에 거주하고 있어 통화로 인터뷰를 대신했다. 책 표지 사진은 한국전쟁 2개월 전인 1950년 4월에 촬영한 당시 중학교 2학년 15세 변덕인씨의 모습이다.

"아버지가 오랜 세월 동안 글을 쓰신다며 수많은 원고지에 쓰고 지우실 때… 나는 그저 끝나지 않은 6·25 트라우마라고만 생각했다. (중략) 10년만 더 일찍 이 회고록을 완성했다면 내가 아버지를 더 많이 이해하고, 아픔을 함께 나누었을 텐데…."

변덕인(83세)씨의 회고록 '소년 병사'의 서문에 남겨 있는 막내 딸 변혜현씨의 소회다. 

중학교 2학년 15세의 나이로 입대, 한국 전쟁 당시 '소년병'으로 시작된 아버지의 인생을 함께 정리한 딸의 사랑이 묻어나 있다. 막내 딸 뿐만 아니라 큰 아들 변영수씨, 작은 아들 변영철씨, 부인 박화용씨까지 모든 가족이 이 회고록을 힘모아 응원했다. 한마디로 가족들이 함께 만든 '아버지의 역사'다. 

부인 박화용씨는 "너무 어릴 때부터 전쟁을 겪어서인지 남편은 자다가도 총소리에 놀라 깨어나기도 하고 수류탄을 던지고, 죽고 죽이는 악몽에 계속 시달렸다"고 증언한다. 하지만 책이 완성 단계에 접어들 때부터 변덕인씨는 훨씬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고 전한다. 가족들은 "책을 쓰면서 악몽을 다 쏟아 낸 것 같다"고 말했다. 

변덕인씨는 이 책을 내기 위해서 8년간이나 글을 썼다. 시작할 때는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서 쓰기 시작했지만 자연스럽게 자신의 이야기로 넘어오게 됐다. 그래서 책에는 '아버지'에 대한 챕터가 따로 있다. 큰 아들 변영수씨는 "이 책을 통해 할아버지의 삶도 잘 알게 됐고, 아이들에게도 증조할아버지와 할아버지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회고록이 온 가족을 하나로 묶고 있는 셈이다.

변덕인씨는 1950년 한국전쟁에서 소년병사가 됐다. "15살이었는데 앞뒤 영문도 모른채 입대했다"는 변씨는 군번이 없는 학도병과는 다른 정규 병사다.

변씨는 전쟁이 발발한 그해, 1950년에 제1훈련소 7교육대(대구)에서 4주, 7사단 현지 하사관교육대(분대장 요원)에서 4주간 교육훈련을 마치고 이등병에서 하사(상등병)로 특진했다. 1951년 3월엔 3연대 6중대 부분대장에서 8월 분대장이 됐다. 변씨는 "아마 미성년(15세)의 나이로 한국전쟁에서 현역 전투 분대장으로 싸운 사람은 나밖에 없을텐데…세계적으로도 아주 드문 사례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회고록 '소년병사'에는 1950년 입대 후 1976년까지 사병 10년, 장교 16년, 소령으로 예편할 때까지 삶의 이야기와 부친의 이야기, 간간이 써왔던 시와 소설까지 담았다. 

한국전쟁, 베트남참전, 전쟁 중에 다시 만난 첫사랑의 모습까지 담담하게 그려져 있다. 특히 군에 만연했던 부정과 부패에 대한 비판과 정의를 향한 격정적인 토로도 남겨져 있다. 동작동 현충원 경비대장 시절, 베트남 전쟁에 영현관리 장교로 참전하며 봤던 가슴 아픈 이야기도 빼놓지 않았다. 또 입소했던 육군 1교육대에서 회고는 전우들과 함께 했던 15세 소년의 감성과 기억도 애잔하게 묻어난다.

책 전체는 자신의 기억과 자료들을 참고하며 '한국 전쟁사'라고 할 만큼 꼼꼼하게 기록됐다. 

인터뷰 말미에 변덕인씨는 문득 옆을 보더니 "이 사람 말이죠, 참 좋은 사람이에요. 친하게 지내도 좋을 겁니다"라고 말했다. 장남 변영수씨를 가리키며 한 말이다. 이 책은 가족들의 깊은 신뢰와 가득한 사랑이 만들어낸 회고록 '소년 병사'다. 또 아버지의 한국전쟁 트라우마를 가시게 한 힐링 역할도 했다.

제작을 도운 중앙A&D의 이정민 팀장은 "온 가족의 응원으로 아버지의 역사가 기록되는 순간이 감동적이었다"며 "한인 이민 가족들 모두 한 두 가지의 극적인 순간과 가족의 역사가 있는데, 이를 기록으로 남기는 일을 도와 보람이 컸다"고 덧붙였다. 

▶문의: (213)368-2661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3 특별한 병사의 특별한 역사찾기 댓글+2 칠성 2009.03.10 9621
142 [6·25 전쟁 60년] 낙동강 혈전 (64) 틈새를 노린 북한군의 공격 댓글+2 정유광(03.10경기) 2010.03.26 9621
141 50여년간 파로호에 묻혀진 가슴 아픈 사연 (2008년 6월3일) 정유광(03.10경기) 2010.03.29 9622
140 이광재 강원도 지사 칠성부대 방문 댓글+1 민경철(88.11충북) 2011.01.10 9652
139 군부대 기름유출 인근 논·토양 오염 칠성관리자 2006.07.25 9656
138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 댓글+2 칠성 2009.06.22 9680
137 육군칠성부대 5연대 전군 最古 60돌 댓글+5 정유광(03.10경기) 2010.02.22 9695
136 솜바지·깔깔이는 추억, 군 방한복 이젠 첨단 섬유 시대 칠성 2008.02.06 9714
135 중서부전선의 붕괴 댓글+3 정유광(03.10경기) 2010.03.23 9828
134 칠성부대 위문공연 댓글+2 칠성관리자 2007.05.30 9863
133 부하 위해 순직한 중대장 29년째 추모 칠성관리자 2006.06.18 9866
132 7사단 GOP대대.. 댓글+4 정유광(03.10경기) 2009.01.09 9878
131 대북 응징보복전 이진삼 손은석9705서울 2013.05.05 9880
130 영월고교생 화천 칠성부대 병영체험 댓글+1 칠성관리자 2007.06.20 9892
129 비목 댓글+4 박흥식(78.06경남) 2009.10.19 9907
128 투입전 총기검사를 하는 초소장 댓글+7 칠성 2009.08.20 9917
127 역시~~~~ 댓글+1 민경철(88.11충북) 2011.03.17 9947
126 심일소령님. 이주석(82.02강원) 2011.05.31 9994
125 화천군자원봉사센터, 7사단 공부방 운영 간담회 칠성 2014.09.30 10010
124 <건군 60년> ④육.해.공군.해병대 名將-1(2008-09-28) 댓글+5 정유광(03.10경기) 2010.03.25 10022
123 문경시 6.25 영웅 김용배 장군 전기 발간 댓글+1 정유광(03.10경기) 2010.04.20 10051
122 위문금 전달하는 이기성 무역협회 전무 손은석(97.05서울) 2010.07.23 10187
121 이제 정말 저걸로 바뀌나 봅니다. 댓글+3 민경철(88.11충북) 2010.11.16 10190
120 韓·佛 가까이 더 가까이… 우리는 '가족 사절단' 댓글+5 정유광(03.10경기) 2009.10.15 10213
119 원홍규 사단장 “산소길 걷기는 환경 생태 안보 어우러진 화천에 걸맞은 행사” 이주석(82.02강원) 2011.09.26 10214
118 한국방송협회 칠성부대 위문 댓글+1 민경철(88.11충북) 2010.12.16 10247
117 [정해년 맞는 최전방 GOP의 하루] 칠성관리자 2007.01.06 10251
116 칠성부대?? 정유광(03.10경기) 2010.04.07 10257
115 살아있는 분단 교실…그래서 더 가슴 아린 우리 땅 칠성관리자 2007.06.15 10273
114 칠성부대 '붕어빵 장수' 간부들 화제 댓글+8 민경철(88.11충북) 2010.01.21 10324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48 명
  • 오늘 방문자 823 명
  • 어제 방문자 1,524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1,994,489 명
  • 전체 게시물 37,075 개
  • 전체 댓글수 58,833 개
  • 전체 회원수 3,02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