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兵이 걸어온 길-6- 5연대 창설
칠성소식

<756>老兵이 걸어온 길-6- 5연대 창설

정유광(03.10경기) 1 10,486 2010.03.30 11:28



1946년 2월 26일, 우리(나와 김백일·최남근)는 미 군정청 203호실에서 이응준 씨의 추천으로 국방경비대 장교(부위, 지금의 중위)로 임관하게 됐다. 수료자들은 원칙적으로 위관장교로 임관됐다. 나는 군번 54번을 받았고, 최남근은 53번, 김백일은 55번이었다.

참고로 군번 1번은 이형근(참모총장 역임), 2번은 채병덕(참모총장 역임), 3번은 유재흥(국방부장관 역임), 5번은 정일권(국무총리 역임) 순이었다. 군사영어학교를 개설한 지 4개월이 채 못 돼 4월 26일 폐교할 때까지 재학생은 200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장교로 임관된 사람은 110명이었다.

나머지는 군정청 군속(문관)으로 발령났고, 미 수료자는 그해 4월 30일 창설된 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전신)에 편입됐다. 돌이켜 보면 110명 임관자 모두는 우리나라 건군의 주역이었다. 대장까지 오른 사람이 나를 포함해 이형근·정일권·장창국·민기식·김종오·김계원·김용배 등 8명, 참모총장을 지낸 사람이 13명, 합동참모의장을 지낸 사람이 7명이나 된다.

1946년 부산으로 창설요원 발령

우리가 임관하던 그날 이응준 씨는 우리에게 이렇게 당부했다.“지금 각 고장마다 신설연대 창설이 한창인데, 학병 출신 젊은이들을 내려 보냈더니 불안하네. 군 경험이 많은 자네들이 내려가서 잘 해주기 바라네.”군사영어학교가 운영되는 동안 미 군정 당국이 뱀부계획(Bamboo Plan)에 의거, 국방경비대(Korean Constabulary) 창설을 위한 연대 창설에 착수하게 되자 장교 수요가 크게 늘게 됐다.

여기서 뱀부계획이란 전국 도별로 1개 중대씩 창설해 차차 대대, 연대로 증편시킴으로써 2만5000명 선으로 국군의 틀을 갖추려는 구상을 말한다. 그에 따라 서울에는 1연대, 충남 대전에 2연대, 전북 이리(익산)에 3연대, 전남 광주에 4연대, 부산에 5연대, 대구에 6연대, 충북 청주에 7연대, 강원 춘천에 8연대, 그리고 46년 8월 제주도가 도로 승격되면서 모슬포에 추가로 9연대를 만들어 총 9개 연대가 창설됐다.

나는 부산 5연대 창설요원으로 가게 됐다. 46년 2월 26일, 발령을 받고 부산에 가 보니 이미 부대 창설 작업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었다. 미40사단에서 파견된 우즈(Woods)와 사이먼슨(Simonsen)이라는 두 소위가 부대 창설 실무책임을 맡아 현지에서 모병한 병사가 200여 명 모여 있었다. 이때 만났던 사이먼슨 소위와는 60년이 넘는 지금까지 서신 연락하고 서울과 워싱턴에서 몇 번 만나기도 했다.

영어 구령에 훈련 한때 혼란

나는 그 부대 A중대장으로 임명됐다. 박병권(국방부장관 역임) 소위가 선임 장교, 이치업·오덕준 두 소위가 소대장이었다.부대는 부산 감천리(甘川里) 천마산 중턱에 있었다. 현재의 사하구 감천동 부산화력발전소 앞이다. 지금은 천마산 자락까지 집들이 빼곡하게 들어찼지만 그때는 허허벌판이었다.

거기에는 일제 때 징용자 대기소로 쓰던 바라크 집 같은 임시 건물 50여 동이 줄지어 있었는데, 수용능력이 1000명 정도여서 장병들 막사로는 안성맞춤이었다. 연대 지휘부는 부산시내 구 일본군사령부 건물을 썼다. 부산에는 특히 일본인이 많이 살았고, 광복 후에도 한동안 귀국선편을 기다리는 일본인이 들끓어 일본색이 많이 남아 있었다.

훈련 때는 미군 고문관들의 영향으로 한때 영어 구령을 써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지난 뒤부터는 우리말로 고친 군사용어집이 지급돼 영어와 일어 구령이 모두 사라졌다. 피복과 개인화기도 처음에는 일본 것이었다. 일본군 창고에서 나온 피복과 미군이 지급한 것이 한동안 혼용돼 국적 불명의 복장을 한 병사들이 많았다.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정리=문창재 언론인>

2008.05.15

Comments

정유광(03.10경기) 2010.03.30 11:39
5연대 A중대장...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43 권병옥 상사, 결손가정 아동지원 선행으로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 손은석9705서울 2018.08.28 3050
442 화천군 평일 외출장병 맞이 준비 ‘분주’ 손은석9705서울 2018.08.28 2528
441 권병옥 상사,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결손아동단체 기부 및 봉사 손은석9705서울 2018.09.04 3035
440 [이동섭의 하드아웃] ‘포병 출신’ 김사율 “현역 입대가 커리어 단절은 아니다” 댓글+2 손은석9705서울 2018.09.11 2946
439 조현천, 계엄문건 작성 도중 계엄동원부대 극비 방문 손은석9705서울 2018.09.11 2494
438 화천군 평일외출 군장병 군심잡기 행보 손은석9705서울 2018.09.18 2714
437 칠성 페스티벌을 찾은 에이지엠 손은석9705서울 2018.10.02 2553
436 민·관·군이 함께하는 칠성페스티벌 개막 손은석9705서울 2018.10.02 2629
435 '접경지 장병축제 한마당' 화천지역 군부대 페스티벌 시즌 개막 손은석9705서울 2018.10.11 2527
434 64위 호국영웅 유해 조국의 품으로 귀환 손은석9705서울 2018.10.11 3211
433 던밀스, VMC 수장 딥플로우 배웅 속 군입대 손은석9705서울 2018.10.16 3014
432 홈 뉴스 사회 사회일반 조용하던 마을 북적, 대부분 패스트푸드점→ PC방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2687
431 68년 만에 아들의 품에 안긴 130번째 호국영웅 박태웅 일병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151
430 장병들의 편안한 휴식을 위한 화천펜션! 파로호 보이는 멋진 뷰 펜션AU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452
429 68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간 한국전쟁 참전 일병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086
428 군장병 평일 외출제도 시행 2달째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2562
427 최초 여성 의병장 윤희순 의사 애국정신 기린다 손은석9705서울 2018.10.30 2807
426 군생활 가장 힘이 되는 것…애인? 걸그룹? 손은석9705서울 2018.10.30 2829
425 병사 '일과후 평일 외출' 12월까지 연장 손은석9705서울 2018.11.13 2469
424 찬밥 대접 받던 군 부대, 이젠 지자체간 모시기 경쟁 댓글+1 손은석9705서울 2018.11.13 3071
423 네 자녀 둔 군인 아버지의 이웃 사랑… “바르게 살려고” 댓글+1 손은석9705서울 2018.11.20 2926
422 DNA 제공자에 최대 1천만원 포상금 사연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2755
421 국방부, ‘위수지역’ 폐지 대신 존치…외출외박 범위 확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2970
420 '설사약 먹이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개월간 후임병 괴롭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3086
419 병사 평일외출제도 연말까지 연장한다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2521
418 박원호 7사단장 취임 댓글+8 민경철8811충북 2018.12.04 7858
417 장병 외출·외박구역 완화움직임 접경지 반발 손은석9705서울 2018.12.04 2588
416 위수지역 개편안 설명회 열려…주민 반발 손은석9705서울 2018.12.04 2825
415 민주당 정책투어팀 오늘 화천 방문 손은석9705서울 2018.12.18 2646
414 철원평야에 울린 노래 ‘전우가 남긴 한마디’ 손은석9705서울 2018.12.18 3076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68(1) 명
  • 오늘 방문자 1,414 명
  • 어제 방문자 774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1,993,556 명
  • 전체 게시물 37,073 개
  • 전체 댓글수 58,830 개
  • 전체 회원수 3,02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