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명신 장군의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칠성소식

채명신 장군의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1952년 5연대장 시절에 잊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우리 연대의 공격훈련이 매우 실전적이며
특수하다고 한국군이나 미군 사이에서 큰 호평을 받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일로 미 육군참모총장 코린스 대장이 모처럼 한국을 방문하는 기회에 5연대를 방문하여 공
격시범훈련을 보겠다는 지시가 미 8군에 시달됐다. 시범 당일 우리 연대에는 코린스 대장, UN
군 사령관 리치웨이 대장, 8군 사령관 밴플리트 대장, 군당장 파머 중장, 참모총장 이종찬 소장
등 한미 고위장성들이 대거 내방했다.
그날 나의 특기인 중대급에 의한 적 방어진지 강습 시범훈련은 참관자들의 격찬을 받았으며 이
는 한국 산악지형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최대한의 화력을
집중시키고 적은 병력으로 신속하게 강습하여 적이 미처 저항할 기회를 주지 않고 적진에 돌입,
진내 소탕하는 요령 등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는 또한 한국군을 대표해서 차지하게 된 영예이기
도 하였다.
명랑한 진중생활
돌바위고지를 점령한 뒤 전선에 변화는 없었다. 이미 UN군은 공산군과 휴전협상을 벌이고 있
었으니 전선에서는 소규모 전투만 반복될 뿐이었다.
때문에 우리 5연대도 진지보강을 하며 탐색전과 매복전 등을 반복하는 지루한 대치상태가 이
어졌다. 난 장병들의 사기와 전투력 유지를 위해 어떤 대책을 세워야 했다.
‘이를 어쩐다. 모두들 호 안에만 처박혀 있는 진중생활에 싫증도 생기고…. 운동부족으로 체력
이 약화될 수도 있겠고…’ 고민끝에 내린 결론은 철저한 교육훈련과 명랑하고 유익한 진중생
활을 하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체력못지 않게 지식습득도 병행키로 했
다.
난 우선 전 부대에서 중졸 이상의 학력자를 파악했다. 그리곤 그들을 부대별로 한 명씩 배정되
도록 각 부대를 재편성했다. 그러자 대략 한 호에 한 명씩 중졸 이상자가 편성되었다.
이젠 교육할 차례였다. 그러나 난감했다. 당시만해도 ‘정훈’에 대한 개념조차 정립돼 있지 않
았을때라 교재를 뭘로 해야 할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다. 고심끝에 난 학교에서 하는 식으로 국
어·한문 등 커리큘럼을 짜 후방에서 책을 사오도록 했다. 또한 농촌출신이 많았던 점을 감안해
영농 및 농촌계몽 교육도 함께 실시했다.
초등학교조차 나오지 못한 사병들에겐 한글교육도 병행시켰다. 교육은 사병들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었다. 난 장교들에게도 강하게 권고해 시간나는 대로 영어공부를 시켰다. 월파 중령이
도와주었다.
체력훈련도 실시했다. 난 최전방 부대를 제외하고 모든 부대는 적이 보이지 않는 사면에 체력단
련을 할 수 있는 운동시설을 만들도록 지시를 내렸다. 배구를 할 수 있는 시설, 태권도 단련시설,
평행봉·철봉 등을 만들고 폐품이 된 통신선을 얻어 잘라내 줄넘기줄을 만들어 배포했다.
뿐만 아니라 사격술·총검술·태권도 등도 병행해 자칫 지루해지기 쉬운 사병들에게 쉴 틈을
주지 않고 공부와 운동을 반복시켰다.
이러한 일련의 계획과 실시는 우리 연대의 독자적인 결정으로 시작했으며 소강상태로 접어든
전쟁터에선 당연한 조치였다.
소총부대 제일주의
난 사기에도 많은 신경을 썼다. 당시 우리 장병들의 가장 큰 관심은 위안부대였지만 양담배도
관심의 초점이었다.
물자가 워낙 부족해 우리군 전투부대엔 일주일에 한 갑 정도의 양담배가 특별지급되고 있었다.
그러니 모든 장병들의 즐거움의 하나는 양담배를 받는 날을 기다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엔 문제가 있었다. 한 사람에게 한 갑씩 나오게 되어 있는 양담배가 오는 도중 이곳
저곳으로 사라져버려 막상 연대에 도착했을 때는 심한 경우 30%가까이 없을 때도 있었다.
그러니 대부분 한 갑씩 못주고 개비로 나눠줘야 했다. 그중 소총 중대원들에겐 무조건 한 갑씩
주도록 명해 기타 행정부대나 본부 등 직접 전투에 참가하지 않는 부대장병에게는 적게 주거나
또는 전혀 배당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바로 사기양양을 위해서이다. 난 당시 사병들의 유일한 즐거움인 양담배 배급으로 사병들
의 사기 올리는 방법을 강구했다.
전쟁시에는 최전선에서 직접 전투에 종사하는 장병들의 사기가 가장 중요하다. 비록 양담배 한
갑이지만 자기들이 다른 전우들보다 우대받고 있다는 사실에 큰 자부와 긍지를 가지게 되는 것
이다. “너희들이 희생하라. 전방 소총부대원들이야 밤잠도못자며 고생하고 있지 않냐? 그러
니 너희들이 양보하도록 해라. 물론 불만이 있다면 말해라. 언제든지 양담배 한갑씩 받을 수 있
는 소총부대로 보내주겠다.” “알겠습니다!” 내말에 비전투부대 요원들은 당연하다는 듯 소
리를 지른다.
최전선 ‘소총중대 제1주의’
이는 내 군인시절 평생을 두고 따라다녔던 단어다. 난 일반병들에게만 그랬던 건 아니다. 장교
들도 마찬가지였다. 본부 장교보단 일선 소대장이나 중대장들을 끔찍히 아꼈다. 난 이들 얘기라
면 무조건 들어주었다. 당연한 일이 아닌가. 가장 고생하는 친구들인데….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5 6·25 마지막 전투 ‘425고지 전투’ 치열했던 그날[김정욱의 밀톡] 댓글+1 칠성 2020.07.07 3244
504 평생 찾아 헤맨 전우들, 그 곁으로 떠난 老兵 칠성 2017.07.04 3240
503 육군, 고졸미만 병사들에게 졸업의 기회를..체계적으로 검정고시 지원 칠성 2016.05.31 3238
502 '진짜 사나이' 칠성부대, 낙오자 속출…'최악 한파' 칠성 2018.08.24 3231
501 '파로호 언덕에 아무도 찾지 않는 빛바랜 비석' 칠성 2019.06.11 3221
500 6·25전쟁 활약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를 아시나요 댓글+1 칠성 2019.06.25 3219
499 ‘연예인 대거 동원’ 온유·시우민·이성열·조권·고은성 등…육군 뮤지컬 ‘귀환’ 발표회 댓글+3 칠성 2019.10.03 3216
498 이영기 중사 등 7사단 부사관 화재 조기 진압 댓글+2 칠성 2020.03.24 3214
497 "충성"…B1A4 출신 차선우(바로), 오늘(30일) 현역 입대 댓글+9 칠성 2019.08.07 3192
496 [김희철의 전쟁사](16) 중공군 입장에서 본 한국전쟁(비호산 전투)과 맥아더의 오판 칠성 2019.12.06 3186
495 새해 첫 입영신고… 11개 부대서 입영행사 칠성 2018.01.09 3184
494 현장르포 제3지대 7사단 2002 GOP 칠성 2018.04.24 3183
493 세계 평화의 종 앞에서 평화 염원 칠성 2018.01.23 3181
492 육군 장교 전역 후 공군 장교로 임관한 최수지 소위 화제 댓글+1 칠성 2020.05.29 3180
491 6·25전쟁영웅 故김영옥 대령 전적지 표지석 제막식 화천서 거행 칠성 2019.10.03 3179
490 철원평야에 울린 노래 ‘전우가 남긴 한마디’ 손은석9705서울 2018.12.18 3176
489 68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간 한국전쟁 참전 일병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173
488 '설사약 먹이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개월간 후임병 괴롭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3168
487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이순호 소령 '7월 호국인물' 칠성 2018.07.03 3158
486 찬밥 대접 받던 군 부대, 이젠 지자체간 모시기 경쟁 댓글+1 손은석9705서울 2018.11.13 3155
485 보훈처, ‘2월의 6.25 전쟁영웅’에 김한준 대위 칠성 2019.02.08 3152
484 헬기 로프 하강 훈련하는 7사단 장병들 칠성 2017.09.12 3148
483 육군 2군단·7사단 간부들 시민 구조 댓글+2 칠성 2020.02.11 3146
482 화천군 7사단부사단장 명예군민패 전달 칠성 2017.12.05 3141
481 권병옥 상사, 결손가정 아동지원 선행으로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 손은석9705서울 2018.08.28 3141
480 권병옥 상사,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결손아동단체 기부 및 봉사 손은석9705서울 2018.09.04 3139
479 화천군, 신병직접입소 막바지 준비 '총력전' 칠성 2016.10.04 3136
478 조부·부친 이어 3대째 군의관 "장병들 건강 책임지겠습니다" 칠성 2020.04.28 3127
477 [인물]6.25전쟁영웅 김한준 육군 대위 칠성 2019.03.05 3126
476 문경 호국영웅 김용배 장군 애국심 되새겨 칠성 2020.07.07 3124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89 명
  • 오늘 방문자 1,743 명
  • 어제 방문자 1,475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2,021,525 명
  • 전체 게시물 37,320 개
  • 전체 댓글수 59,114 개
  • 전체 회원수 3,03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