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중 북한군 고급 장교가 투항한 뒤 국군 장교로 임관한 사례.
칠성소식

6.25 전쟁 중 북한군 고급 장교가 투항한 뒤 국군 장교로 임관한 사례.

스스로도 비리나 부패를 경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인이 사적으로 지휘 트럭을 사용하자 크게 화를 내면서

외양간에서 자라고 쫓아낸 일화가 유명하다.

이는 국공내전을 직접 보면서 국민혁명군과 팔로군의 사례로

지휘부의 부패상이 군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본 경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강호논객 윤상용

 

 

포로가 된 북한군 장교와 병사가 미 8군(EUSA: Eighth US Army) 사령부에서 미군 헌병과 포즈를 잡고 찍은 사진. 1950년 8월 22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사진 속 인물은 정봉욱(鄭鳳旭, 1924~2018) 중좌로, 유일하게 전쟁중 북한군 좌관급 장교가 국군에 투항한 뒤 국군 장교로 임관한 사례다. 그는 원래 북한 인민군 제 13사단에 소속되어 있던 포병장교였다.
첫 사진에서 우측에 찍힌 인물은 국군 소속 통역장교로 추정되나 신원은 특정되지 않으며, 두 번째 사진에서 좌측에 선 소년은 정봉욱 중좌와 함께 투항한 인민군 병사이다. 이들은 하루 전 날인 8월 21일에 미 제 25사단 27연대에 투항했다가 국군 제 1사단에 인계됐다.

 

인민군 시절의 정봉욱 장군
인민군 시절의 정봉욱 장군

황해도 안악군 태생. 일제시대 때 태어나 중국국민혁명군 제 18집단군, 혹은 공산군 예하 "팔로군(八路軍)"에 소속되어 중국에서 활동했다. 해방 후 북한으로 귀국했으며, 평양 군관학교를 거쳐 인민군 포병으로 임관했다. 6.25가 발발했을 당시에는 전연군단인 인민군 1군단 예하 13사단 사단 포병대에 소속되어 참전했다.

북한 인민군 1군단은 개전과 함께 남침을 시작한 후 강원도를 거쳐 빠르게 남진했으며, 열세의 전력으로 증원이 도착할 때까지 방어전을 치르려면 전선을 좁혀야 한다고 판단한 미 제 8군사령관 월튼 워커(Walton H. Walker, 1889~1950) 중장의 결정으로 UN군은 낙동강까지 후퇴했고, 1950년 8월에는 낙동강을 연한 전선이 형성됐다.
 
8월 22일, 인민군 13사단은 신주막 방면에서 국군 방어선 돌파를 시도했지만 미군의 포격과 항공 지원으로 그 자리에서 움직일 수없는 상태였다. 전선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인민군 13사단장인 최용진(崔勇進, 1916~1999) 소장은 포병대대장인 정봉욱 중좌를 불러 포병 대응이 실패하고 있다면서 공세 실패의 책임을 돌리는 질책을 했다.
 
당시 인민군 포진지에서 국군 1사단까지 거리가 10km에 불과해 사거리가 짧았고, 포 진지를 전방 추진 했다간 근접항공지원의 표적이 되기 십상이라 정 중좌의 포병대는 인근 과수원에서 포병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는 사단장이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는 발언을 하자 그 자리에서 항의해 격렬한 언쟁이 붙었고, 결국은 사단장이 자신에게 공세 실패의 책임을 전가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투항을 결심했다.
 
그는 곧 당번병만 한 명을 대동하고 13사단과 마주보고 있던 미 제 25사단에 항복했다. 그는 투항 후 과수원에 은폐 중이던 122mm 곡사포와 76mm 곡사포의 위치를 모두 UN군 측에 넘겼으며, 이들 포병대는 곧 미군 야포의 집중 사격을 받고 궤멸됐다. 그 외에도 그는 다부동 지역 작전지도 등을 챙겨와 국군에 넘김으로써 한-미 연합군이 다부동 지역에서 대승을 거두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귀순 후 그는 국군 편입을 희망했으며, 국군은 이를 받아들여 특임(특별임관)장교로 임관 시키고 중령 계급을 주었다. 인민군의 구조나 내부에 대해 익숙하던 그는 전쟁 기간 내내 대한민국 육군 포병장교로 활약했으며, 1953년 5월, 육군 제 3군단이 창설됐을 당시 군단포병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이 시기에 군단 포병대장으로 만난 박정희(朴正熙, 1917~1979) 소장과의 인연으로 1961년 5.16 쿠데타가 발발하자 혁명군에 가담했다.
 
그는 1965년 준장으로 진급해 육군 제 7보병사단("칠성부대") 사단장에 임명됐다. 사단장 재임 중이던 1967년 4월 12일, 7사단 섹터 내의 205GP가 북한군 침투조의 공격을 받자 정 장군은 직접 사단 포병연대를 동원해 포격으로 대응했으며, 수복한 GP 위로 올라가 북한 측 사단장과 연대장 이름을 호명하며 다시 도발한다면 북한군 진지에 직접 포격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당시 상대방 지휘관들은 정봉욱 장군이 북한에 있던 시절 후배 장교들이었는데, 서로 상대방을 잘 알고 있던 사이였으므로 GP 위에서 확성기를 들고 설전을 벌였다고 한다.
육군 제3사관 학교 교장시절의 정봉욱 장군
육군 제3사관 학교 교장시절의 정봉욱 장군

 

그는 소장으로 진급한 뒤 1968년에 처음 개교한 육군 제3사관학교 교장을 맡았으며, 1970년에 육군 훈련소장을 역임한 뒤 1973년 소장 계급으로 예편했다. 예편 뒤에는 1978년까지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사실 그는 팔로군에 북한 인민군 출신이긴 하나, 투항 후 평생 완고한 반공 성향을 유지하며 공산주의에 반대했고, 개인적으로는 청렴하고 소박한 인물이라 지휘관 생활을 하면서 부대 내 부조리와 비리 척결에 힘썼다. 스스로도 비리나 부패를 경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인이 사적으로 지휘 트럭을 사용하자 크게 화를 내면서 외양간에서 자라고 쫓아낸 일화가 유명하다. 이는 국공내전을 직접 보면서 국민혁명군과 팔로군의 사례로 지휘부의 부패상이 군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본 경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말년의 정봉욱 장군
말년의 정봉욱 장군

 

정봉욱 장군은 최초 인민군의 최용진 13사단장의 추궁을 받았을 때 "잘못하다간 책임을 뒤집어 쓰고 죽겠다"는 생각도 했지만, 정치군인들이 항상 야전 군인들을 감시하고 있는 공산군 특유의 군 구조도 평소 굴욕적이라고 느껴왔기 때문에 투항을 결심했다고 훗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군 생활을 마친 뒤 조용히 노년을 보내다 2018년에 타계하여 대전 국립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됐다.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64 [이동섭의 하드아웃] ‘포병 출신’ 김사율 “현역 입대가 커리어 단절은 아니다” 댓글+2 손은석9705서울 2018.09.11 2987
563 화천 민· 군· 관 페스티벌로 하나된다 칠성 2017.09.25 2988
562 네 자녀 둔 군인 아버지의 이웃 사랑… “바르게 살려고” 댓글+1 손은석9705서울 2018.11.20 2989
561 7사단 창설 68주년 기념행사 칠성 2017.07.11 2991
560 육군 2군단, 2019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영결식 칠성 2019.12.12 2995
559 최문순, 화천군수 지원유세에 한나라당 출신 '전 군수' 동참 칠성 2018.06.13 2997
558 롯데시네마, 육군 장병 위문품 전달 칠성 2017.07.04 3007
557 전방은 우물 마시며 버티는데…관련 예산 삭감한 국방부 칠성 2016.07.05 3011
556 12월20일 사방거리 DMZ 시네마 1층에 개관 칠성 2019.12.25 3019
555 40년 만에 재회한 한인 태권도인들의 특별한 만남 칠성 2020.02.18 3019
554 군과 기업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칠성 2016.06.21 3020
553 육군협회, 감동과 사랑의 온라인 언텍트 신병수료식 성료 댓글+1 칠성 2020.11.10 3021
552 65년 만에 다시 찾은 부대 칠성 2017.03.07 3030
551 감리교군선교회, 7사단 신병교육대서 세례식 거행 댓글+2 칠성 2019.04.09 3033
550 7사단 연승연대 인근 마을회관 의료봉사 칠성 2017.11.07 3034
549 청소년 자전거 국토순례 성료… 폭염에도 138명 완주 손은석9705서울 2018.08.28 3040
548 윤지성, 군입대 후 근황 재조명..워너원 멤버 회동→늠름해진 미모 칠성 2019.12.12 3046
547 국방부, ‘위수지역’ 폐지 대신 존치…외출외박 범위 확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3053
546 100일만의 진중세례식 “그 어느때보다 풍성” 칠성 2020.07.07 3055
545 군대 내의ㆍ핫팩 아직 안 써봤니? 칠성 2017.12.20 3061
544 던밀스, VMC 수장 딥플로우 배웅 속 군입대 손은석9705서울 2018.10.16 3071
543 양종수 "7사단은 대한민국 명품사단" 칠성 2019.08.05 3072
542 육군 간부들 출장 중 침착한 조치…졸음쉼터 응급환자 생명 구해 칠성 2020.02.11 3074
541 순황토로만 지어진 건강한 화천펜션! SNS 인기 ‘나이테펜션’ 칠성 2018.06.05 3076
540 육군 2군단·7사단 간부들 시민 구조 댓글+2 칠성 2020.02.11 3083
539 조부·부친 이어 3대째 군의관 "장병들 건강 책임지겠습니다" 칠성 2020.04.28 3085
538 문경 호국영웅 김용배 장군 애국심 되새겨 칠성 2020.07.07 3085
537 권병옥 상사,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결손아동단체 기부 및 봉사 손은석9705서울 2018.09.04 3095
536 [인물]6.25전쟁영웅 김한준 육군 대위 칠성 2019.03.05 3100
535 화천군, 신병직접입소 막바지 준비 '총력전' 칠성 2016.10.04 3101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43 명
  • 오늘 방문자 1,020 명
  • 어제 방문자 771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2,012,483 명
  • 전체 게시물 37,219 개
  • 전체 댓글수 58,952 개
  • 전체 회원수 3,03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