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에 `50만 대군`도 깨졌다…작년말 국군 병력 48만명
칠성소식

저출생에 `50만 대군`도 깨졌다…작년말 국군 병력 48만명

2018년 60만명 무너진 지 4년 만에 50만명 아래로
2038년엔 39만6000명 기록, 40만 명선도 깨질 듯
저출생에 `50만 대군`도 깨졌다…작년말 국군 병력 48만명
지난 3월 7일 강원 화천군 화천읍 상리에서 육군 7사단 장병들이 행군하고 있다. [화천=연합뉴스]

한동안 국군을 지칭하던 '60만 대군'이란 말이 사라진 지 4년 만에 '50만 대군'도 옛말이 될 판이다. 저출생 여파로 인해 작년 연말 병력이 50만명을 밑돈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23일 한국국방연구원(KIDA) 조관호 책임연구위원의 '병역자원 감소 시대의 국방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군의 정원은 50만명이었으나, 실제 연말 병력은 48만명에 그쳤다. 연말 병력이 50만명 아래로 내려간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국군의 연말 병력은 2002년 69만명(정원 69만명)을 기록한 이후 2017년까지는 60만명 이상을 유지했다. 2018년에 57만명을 기록하면서 60만명 기록이 깨졌고, 그 이후에도 계속 감소해 2021년 51만명으로 50만선을 간신히 유지했다.

그런데 '60만 대군'이 깨진 지 불과 4년 만에 '50만 대군'조차 과거의 얘기가 될 상황이 된 것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2027 국방중기계획'에서 2027년까지 상비병력의 정원을 50만명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실제 병력 50만명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조관호 연구위원은 "현재 병역 제도를 유지할 경우 연말 병력은 향후 10년간 평균 47만명 선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육군 기준 병 복무기간을 18개월로 유지하고 간부 규모와 현역판정비율, 상근·보충역 규모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한다면 연말 병력은 2037년까지 40만명 선을 유지하다가, 2038년 39만6000명을 기록하며 40만명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는 계산이다.

그 경우에는 국군은 병사 수(19만6000명)보다 간부(20만명)가 더 많은 군대가 된다.

현역 병사 수 급감의 직접적인 원인은 저출생에 따른 병역자원 감소다. 상비병력 50만명을 유지하려면 매년 22만명을 충원해야 한다.

KIDA가 주민등록인구와 생존율 자료를 토대로 연도별 20세 남성 인구를 추산한 결과 2036년부터 20세 남성 인구가 22만명 아래로 떨어진다. 이어 지난해 출생한 남아가 20세가 되는 2042년에는 12만명까지 급감하게 된다. 우리 군이 저출생에 따른 병역 자원 급감이란 '결정된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10여년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조관호 연구위원은 "2030년대 중반이 되면 지금과는 병역 자원 수급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상비병력을 50만명으로 유지하는 것이 적정한지를 포함해 병역 자원 감소에 대비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역 복무기간 연장과 여성 징병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미 줄인 복무기간을 다시 연장하거나 여성을 입대시키는 게 현실적인 방안과는 멀다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군은 '국방혁신 4.0'에서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과학기술강군' 육성으로 병역 자원 감소에 대비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이 역시 '저출생 시대'를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Comments

칠성 2023.07.26 14:08
관련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2028500504
최재권8509울산 2023.07.26 16:00
저출산에 병력이없는데 복무기간연장이 현실적이지 않다는게 뭔말인지?
최봉준8503경남 2023.07.26 17:51
시국이 복무기간 연장이 어렵다는것이겠죠,,,,,
최봉준8503경남 2023.07.26 17:52
주위에 다들 보면 애들 2~3명이 대다수인데 출생인구가 줄어든다는게 실감이 안나긴 합니다,,
최장옥9710서울 2023.07.27 06:47
걱정이 큽니다.
손은석9705서울 2023.07.27 12:56
110년 전 한반도 전체 인구가 2천만이었습니다. 인구절벽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지금이 많은 시대일 뿐입니다.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23 안동시, 故 강북도 육군 일병 유가족에 ‘화랑무공훈장’ 전수 칠성 2022.03.15 1038
922 6·25 호국영웅 12명, 70여년만에 서울·대전현충원 영면 댓글+2 칠성 2022.07.11 1041
921 박기병 6·25참전언론인회장, 화천서 군장병 안보강연 댓글+2 칠성 2022.06.30 1044
920 큰 대회에 강한 이상희 "한국오픈은 꼭 우승하고 싶은 대회" 댓글+2 칠성 2022.06.30 1055
919 7사단 6·25 전사자 유해발굴 개토식 칠성 2022.09.29 1061
918 '준비 완료!'…육군 7사단 포술경연대회 댓글+7 칠성 2023.03.14 1072
917 화천군, 군(軍)페스티벌 3년 만에 개최 칠성 2022.10.11 1077
916 "마지막 한 분까지 가족 품으로" 육군 7사단 화천서 유해 발굴 댓글+1 칠성 2022.09.29 1078
915 화천지역 군장병 대거 참가 강철 체력 자랑 칠성 2023.03.09 1089
914 강원 최전방 포 사격장 산불...이틀째 헬기 진화 댓글+8 칠성 2023.03.30 1089
913 68년 만에 화랑무공훈장 주인 찾았다…하진부리전투 전사 송병선 하사 칠성 2022.11.08 1092
912 육군 제7보병사단, 화천 일대 전투지휘검열… 30부터 사흘간 칠성 2022.09.04 1094
911 화천 칠성전망대 코로나 확산에 관람 재개 무산 댓글+4 칠성 2022.07.26 1104
910 탱크 댓글+3 양무근8610대구 2022.08.31 1111
909 CJ푸드빌, 육군7사단에 위문품 전달 댓글+6 칠성 2023.02.07 1111
908 kt 특급 이적생 또 나왔다…GOP 출신 잠수함 이채호를 아시나요 댓글+5 칠성 2022.08.23 1114
907 '중금속 물' 마신 장병들... 군용수도서 비소·망간 검출 칠성 2022.10.19 1115
906 군 코로나19 확진 691명 추가…누적 17만1천105명 댓글+1 칠성 2022.06.21 1117
905 산불 끄러 나온 북한군… 'GOP에선 다 보인다' 댓글+11 최봉준8503경남 2023.05.01 1126
904 육군7보병사단 독수리여단, ‘코로나 블루’ 해소 독서경연대회 댓글+1 정상규8407경기 2022.03.22 1130
903 6·25 호국영웅 8인 현충원에 잠들다 칠성 2022.12.27 1136
902 영월·홍천서 ASF 감염 야생멧돼지 수렵개체 및 폐사체 4구 발견 댓글+2 칠성 2022.04.05 1137
901 군, 혹한기 준비훈련 중 사망한 이병 ‘순직’ 인정…1계급 추서 칠성 2023.01.17 1150
900 [신면주칼럼]우리의 6월은 장미보다 비목(碑木)의 계절이다 칠성 2022.06.07 1153
899 ‘기동탐문’ 통해 12년 전 양구 발굴 전사자 유해 이우서 하사 확인 칠성 2022.02.15 1158
898 육군 7사단, 6·25 전쟁 최대 격전지 화천 일대서 유해발굴 댓글+1 칠성 2022.09.29 1163
897 "전우들 있었으니까 버텼지" 6·25 참전용사 김기열 옹 댓글+2 칠성 2022.06.30 1166
896 육군 부사관들, 12년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후손 장학금 전달 댓글+2 칠성 2022.03.22 1168
895 화천군 육군 제 7사단, 설 명절 맞아 주민들과 따뜻한 온정 나눠 칠성 2022.02.04 1172
894 육군 7사단 칠성전우회 장난감 기탁 댓글+5 칠성 2022.04.18 1173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07(1) 명
  • 오늘 방문자 1,329 명
  • 어제 방문자 1,593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1,996,588 명
  • 전체 게시물 37,087 개
  • 전체 댓글수 58,845 개
  • 전체 회원수 3,02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