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날의 피와 땀, 잊지 말아야"
칠성소식

"그 날의 피와 땀, 잊지 말아야"

"그 날의 피와 땀, 잊지 말아야"
[월요포커스, 끝나지 않은 6·25]무공훈장 받는 지역원로 송좌빈 선생
2007년 06월 25일 (월) | PDF 3면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지역 정계 원로인 죽천 송좌빈(84) 선생이 한국전쟁이 끝난지 반세기가 넘어 전쟁터에서 받지 못했던 무공훈장을 받는다.

전쟁의 포화가 그친지 54년, 육군 제32사단은 급박한 전장환경에서 공훈을 세우고도 훈장이 없어 구두나 증서로 통보만 받았던 대전·충남 참전용사 중 송 선생을 비롯한 16명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스스로 자신의 젊음을 바쳐 싸웠던 송 선생은 백발 노인이 되어 그동안 잊고 있었던 훈장 소식을 접하자 감회가 새롭기만 하다.

그는 한국전쟁 당시 육군 7사단 작전처, 제1훈련소, 육군 5사단, 육본 정훈감실 등에서 많은 공적을 세워 한 번의 을지무공훈장과 두 번의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송 선생은 "당시 훈장이라는 것은 대상자를 일렬로 세워 놓고 '너는 오늘 00무공훈장을 탔다'고 말로만 수여하는 것이었다"면서 "그런데 그 명단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는 게 놀랍다"고 말했다.

1950년 봄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송 선생은 고향인 대전으로 내려와 취업 준비를 하던 중 한국전쟁을 맞았다.

전쟁 소식을 접한 선생은 나라의 운명이 자신과 같은 청년의 손에 달렸다고 생각하고 자원입대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갔다.

무작정 서울에 올라간 선생은 전봇대에 붙어있는 모병공고를 보고 찾아가 입대, 기본 교육을 마치고 그해 11월 소위로 임관해 전선으로 향했다.

"7사단으로 배속명령을 받았는데 어디서 뭘 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상태였습니다. 부대 주둔지가 하루가 멀다하고 이동하던 시절이라 대충 근처로 가는 군용트럭을 잡아타고 물어물어 갔어요."

힘들게 차를 갈아타며 강원도 양구까지 찾아간 송 선생은 '배웠다'는 이유로 사단 정보처로 배속받아 적 정보수집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곧 그의 부대는 남하한 중공군에 포위돼 버렸다.

지휘체계가 무너져 무질서하게 후퇴하는 상황에서 선생은 주변 장병을 수습해 적의 추격을 뿌리치고 탈출에 성공했다.

송 선생은 부대가 재편되면서 제1훈련소로 배속돼 신병을 교육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반 이상이 문맹인 신병들에게 우리 글을 가르치고 공산당과 맞서 싸워야 하는 이유와 민주주의 수호에 대한 결의를 갖도록 정신교육을 했습니다."

그러나 치열한 전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많은 신병과 부모들은 덜 위험한 운전이나 헌병같은 보직을 받기 위해 애썼다고 한다.

당시 신병이란 게 먼저 죽은 전사자의 자리를 보충해 싸우는 역할이었기 때문이다.

송 선생은 "논산 제2훈련소는 '돈산'훈련소라고 부를 정도로 신병의 부모들이 보따리를 싸들고 오는 일이 많았다"면서 "보직 결정이 생명의 위험을 좌우하니 비전투보직을 받으려고 다들 애썼다"고 회상했다.

이런 기억과 요즘 젊은이들이 병역을 기피하려는 모습이 겹쳐지며 선생의 마음은 씁쓸하기만 하다.

그는 "국가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칠 줄도 알아야 하는데, 군대 기피가 요즘 사회의 일반적인 현상이 돼 버려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231592_61373_553.jpg

한편 송 선생을 비롯 대전·충남 참전용사 16명에 대한 무공훈장 수여식은 오는 27일 육국32사단에서 열린다. /이재형 기자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84 접경지 청소년 병영체험 '눈길' 칠성관리자 2006.12.11 6324
983 [정해년 맞는 최전방 GOP의 하루] 칠성관리자 2007.01.06 10296
982 화천 전몰장병 발굴 추진 칠성관리자 2007.01.07 6985
981 산천어축제 우리가 빠질 수 없죠 칠성관리자 2007.01.23 6789
980 민통선 야생동물 먹이주기 칠성관리자 2007.01.23 6706
979 강원도 화천 '추위 마케팅' 대박 칠성관리자 2007.01.30 8614
978 접경지부대 전역 군장병도 소망 칠성관리자 2007.02.13 7617
977 ‘종교계 지도자 전방부대 방문’ 현장 칠성관리자 2007.02.13 9542
976 서울서 6.25전사자 유해 첫 발굴 작업 댓글+1 칠성관리자 2007.02.13 7588
975 화천 설 연휴 온정 물결 칠성관리자 2007.02.20 7535
974 칠성부대 위문공연 칠성관리자 2007.03.06 68647
973 군인의 길을 함께 걷는 육군 3부자 칠성관리자 2007.03.27 7088
972 2004.6.8~9. 종교계지도자 전방부대 방문 (육군 칠성부대) 칠성관리자 2007.03.27 11368
971 경남 하동지역 6·25 참전 학도병 유해 발굴 착수 칠성관리자 2007.05.01 7581
970 현성스님, 7사단 연승사 수계법회 법문 칠성관리자 2007.05.01 7758
969 7사단 철책경계 칠성관리자 2007.05.01 8100
968 [실록2]박정희 춘천 8연대시절 좌익기록(1948년) 칠성관리자 2007.05.01 15201
967 주민 목숨 구한 장병들 칠성관리자 2007.05.01 6938
966 국민의 수호천사, 술취해 추락한 주민 구해내 (7사단) 칠성관리자 2007.05.23 7102
965 칠성부대 위문공연 댓글+2 칠성관리자 2007.05.30 9923
964 우리부대의 역사관 칠성부대 댓글+1 칠성관리자 2007.06.05 8513
963 한국전쟁 전사자 추정 포천서 유해 11구 발굴 칠성관리자 2007.06.15 8475
962 살아있는 분단 교실…그래서 더 가슴 아린 우리 땅 칠성관리자 2007.06.15 10336
961 前세계챔피언 홍수환 강사와 칠성부대와의 특별한 만남 칠성관리자 2007.06.20 7290
960 영월고교생 화천 칠성부대 병영체험 댓글+1 칠성관리자 2007.06.20 9933
959 채명신 장군의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칠성관리자 2007.06.20 9184
958 파로호, 중공군 수만명 수장한 곳 의미 칠성관리자 2007.06.26 12255
열람중 "그 날의 피와 땀, 잊지 말아야" 칠성관리자 2007.06.26 7148
956 국군 전사자 '이태윤'을 아시나요 칠성관리자 2007.07.31 13002
955 안타까운 그들 - List of Injury & Death 칠성관리자 2007.07.31 17517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90 명
  • 오늘 방문자 911 명
  • 어제 방문자 1,040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2,009,862 명
  • 전체 게시물 37,193 개
  • 전체 댓글수 58,927 개
  • 전체 회원수 3,02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