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장님을 잊지 않는 부하들
칠성소식

중대장님을 잊지 않는 부하들

이주석(82.02강원) 0 9,144 2011.06.14 14:47

<살신성인 중대장 추모사업 우리가..헌소 제기>

연합뉴스 | 이해용 | 입력 2011.06.14 11:12 | 수정 2011.06.14 11:40

故 정경화 소령 추모 부하들 "보훈급여 지급 직계가족 한정 국가유공자법 개정을"

(화천=연합뉴스) 이해용 기자 = 비무장지대(DMZ) 지뢰제거작업 중 부하들을 구하고 순직한 故 정경화 소령의 추모사업을 34년째 이어가고 있는 당시 부하들과 부대 출신 인사들의 모임인 `백암산 패밀리(회장 정문식.56)'가 최근 헌법소원을 내 관심을 끌고 있다.


백암산 패밀리는 최근 헌법재판소에 낸 헌법소원심판 청구서에서 "故 정경화 소령의 살신성인 정신을 전파하는 추모사업을 34년 동안 추진해왔으나 해를 거듭할수록 생존 부하가 자연감소(사망 등)되면서 자비로 추진하는데 한계와 함께 사업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국가유공자의 보훈급여금 지급 대상을 배우자와 자녀, 부모 등으로 한정하고 있는 국가유공자법 제5조를 재고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 단체가 헌소를 제기한 것은 자비를 털어 추모사업을 계속 이어가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유족이 없어 지급되지 못하고 있는 그의 유족연금이나 보조금을 추모사업에 쓰기 위해서다.

정 소령은 부모가 숨진 뒤 육사에 입학하고 순직시 까지 미혼이었으며 누이 2명은 출가했었다.

이 단체는 지난달 국가보훈처를 대상으로 정 소령의 유족연금 등을 추모사업비로 지원해달라고 요청했으나 국가유공자법 제5조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자 헌소를 내기로 했다.

백암산 패밀리와 정 소령의 인연은 1977년 6월21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동부전선 최전방지역인 강원 화천군 육군 7사단 5연대 백암산 기슭에서 중대장으로 근무중이던 정경화 대위(1992년 소령 추서)는 북한군이 땅굴작업을 하고 있다는 상급부대의 판단에 따라 중대원 22명과 함께 DMZ 수색정찰 및 지뢰제거 임무에 나섰다.

그는 지뢰제거 작전이 위험을 수반하는 임무이기 때문에 중대원이 지뢰를 발견하면 대피시킨 뒤 직접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하던 중 6.25전쟁 당시에 매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22번째 지뢰를 제거하다 부식된 안전핀이 부러지는 위기에 처했다.

순간 정 대위는 중대원들에게 "피하라"는 한마디 말을 남긴 채 자신의 몸으로 지뢰를 덮쳐 부하들의 희생을 막고 자신은 순직했다.

이후 맏형같던 중대장을 잃은 부하들은 전역 이후 하나 둘 국립묘지를 참배하는 과정에서 백암산 패밀리를 결성, 추모활동에 나섰다.

중대장이 순직할 당시 일병으로 사고 현장에서 근무했던 정 회장은 1988년 중대장과 병영생활 이야기를 담은 '백암산 접동새'를 출판하고 수익금으로 그의 이름을 딴 경화공원을 백암산 자락에 조성한 뒤 동상까지 세웠다.

이와 함께 정 대위의 죽음이 사고로 인한 단순 순직으로 잘못 처리돼 있는 것을 발견하고 줄기차게 재조사를 요구한 끝에 부하를 위해 목숨을 던진 중대장의 살신성인 정신을 밝혀내 순직 15년만에 일계급 특진시켰다.

여기에다 2009~2010년에는 귀감이 되는 중대장상을 정립하기 위해 7사단 중대장 가운데 최우수 중대장 2명을 선발, 200만원씩 상금을 지원했다.

정 회장은 "이 일을 하는 것은 누가 시키거나 돈을 벌기 위한 게 아니라 중대장님에 대한 도리이자 의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국가에서 도움을 주거나 누가 보태줘서 한 게 아니라 제각기 힘들게 벌어 가족들과 먹고 살아오면서 이어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백암산 패밀리는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은 아니지만, 물질을 위해 부모 형제도 저버리는 현실 속에서 친 형제보다도 더 가깝게 중대장에 대한 부하의 의리를 지켜왔다고 자부한다"며 "벌써 34년의 세월이 흐르고 해가 갈수록 우리도 죽음에 가까이 다가가게 된 만큼 추모사업을 할 수 있도록 국가유공자 유족연금을 부하들인 백암산 패밀리가 수령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단체는 정 소령에 대한 유족연금이 나올 경우 조직을 사단법인으로 바꿔 추모사업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정 회장 등 백암산 패밀리 회원들은 오는 21일 화천군 DMZ 인근의 경화공원을 찾아 정경화소령 34주기 추모제를 지낼 예정이다.

dmz@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dmzlife

(끝)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3 68년 만에 아들의 품에 안긴 130번째 호국영웅 박태웅 일병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167
502 치열했던 마지막 승전지, 그 자리엔 평화의 물길이… 칠성 2020.05.28 3159
501 새해 첫 입영신고… 11개 부대서 입영행사 칠성 2018.01.09 3136
500 평생 찾아 헤맨 전우들, 그 곁으로 떠난 老兵 칠성 2017.07.04 3135
499 육군, 고졸미만 병사들에게 졸업의 기회를..체계적으로 검정고시 지원 칠성 2016.05.31 3134
498 이영기 중사 등 7사단 부사관 화재 조기 진압 댓글+2 칠성 2020.03.24 3130
497 "충성"…B1A4 출신 차선우(바로), 오늘(30일) 현역 입대 댓글+9 칠성 2019.08.07 3115
496 '파로호 언덕에 아무도 찾지 않는 빛바랜 비석' 칠성 2019.06.11 3108
495 세계 평화의 종 앞에서 평화 염원 칠성 2018.01.23 3107
494 [김희철의 전쟁사](16) 중공군 입장에서 본 한국전쟁(비호산 전투)과 맥아더의 오판 칠성 2019.12.06 3107
493 68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간 한국전쟁 참전 일병 손은석9705서울 2018.10.24 3098
492 헬기 로프 하강 훈련하는 7사단 장병들 칠성 2017.09.12 3094
491 '설사약 먹이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개월간 후임병 괴롭혀 손은석9705서울 2018.11.27 3093
490 6·25전쟁 활약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를 아시나요 댓글+1 칠성 2019.06.25 3092
489 6·25전쟁영웅 故김영옥 대령 전적지 표지석 제막식 화천서 거행 칠성 2019.10.03 3092
488 현장르포 제3지대 7사단 2002 GOP 칠성 2018.04.24 3088
487 찬밥 대접 받던 군 부대, 이젠 지자체간 모시기 경쟁 댓글+1 손은석9705서울 2018.11.13 3087
486 철원평야에 울린 노래 ‘전우가 남긴 한마디’ 손은석9705서울 2018.12.18 3086
485 화천군 7사단부사단장 명예군민패 전달 칠성 2017.12.05 3084
484 육군 장교 전역 후 공군 장교로 임관한 최수지 소위 화제 댓글+1 칠성 2020.05.29 3083
483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이순호 소령 '7월 호국인물' 칠성 2018.07.03 3079
482 화천군, 신병직접입소 막바지 준비 '총력전' 칠성 2016.10.04 3070
481 [인물]6.25전쟁영웅 김한준 육군 대위 칠성 2019.03.05 3065
480 권병옥 상사, 결손가정 아동지원 선행으로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 손은석9705서울 2018.08.28 3059
479 ‘연예인 대거 동원’ 온유·시우민·이성열·조권·고은성 등…육군 뮤지컬 ‘귀환’ 발표회 댓글+3 칠성 2019.10.03 3057
478 권병옥 상사,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안보봉사상 수상…결손아동단체 기부 및 봉사 손은석9705서울 2018.09.04 3047
477 보훈처, ‘2월의 6.25 전쟁영웅’에 김한준 대위 칠성 2019.02.08 3046
476 문경 호국영웅 김용배 장군 애국심 되새겨 칠성 2020.07.07 3043
475 순황토로만 지어진 건강한 화천펜션! SNS 인기 ‘나이테펜션’ 칠성 2018.06.05 3034
474 던밀스, VMC 수장 딥플로우 배웅 속 군입대 손은석9705서울 2018.10.16 3032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83 명
  • 오늘 방문자 1,385 명
  • 어제 방문자 1,593 명
  • 최대 방문자 6,359 명
  • 전체 방문자 1,996,644 명
  • 전체 게시물 37,088 개
  • 전체 댓글수 58,846 개
  • 전체 회원수 3,02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